다른 사이트 둘러보기
“공유 시 회원님이 작성한 댓글에 아이콘이 노출되며, 누구나 노출된 아이콘을 클릭하여 회원님이 공유하고 싶은 지식채널e를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국민들이 느끼는 고통을 측정하는 두 가지 경제지표
지금 보신 지식채널e에 대한 소감을 댓글로 작성해 주세요.
0 / 250bytes
오*미
실업률과 물가상승 이 두가지를 잡는 방법은 아직까지 없다고 합니다... 앞으로도 불가능성이 크다더군요..
공*민
대한민국은 공부와 경제가 제일 문제야
이*정
이것 참 아이러니 하네요
김*자
실업률+물가상승률 이름만 봐도 마음이 무너지네요. 실업률 낮추려고 시간제를 높이는 추세이니.... 잘 모르겠습니다. 경제를 좀더 공부해봐야 알것 같네요. 그래도 물가는 상승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니...
김*성
미래가 불투명해진 만큼, 경제학에 대한 위협은 더욱 거세질 것입니다. 국민들이 정확한 수치를 요구한다면, 정부는 기존의 계산방식, 조건에서 벗어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회원님들께서 추천해주신 댓글중 최고의 댓글들을 모아봤어요.
유*한(lee****)
적당한 인텐시브는 동기유발에 좋지만 과도하면 모든 가치를 물질적으로만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네요. 특히 황금만능주의와 천민자본주의가 팽배한 요즘과 같다면 말이죠.
김*정(zxc****)
자신만이 열심히 산다고 실업률을 극복할수 있을까요? 취업을 하기위해 많은 사람들이 열심히 살아가는데도 불구하고 실업자는 넘쳐난답니다. 이 나라와 사회자체가 풀어갈 문제죠 물가상승하는데는 외국 수입에 의존하는데도 있구요.
김*헌(kb1****)
솔직히 우리나라 이런거오바임,, 청소년 교육부터 시작해서 하나부터 열까지다 힘듬
천*욱(mks****)
눈치만 보다가 게임이 끝나버리는 경우도 많은것같다. 때로는 과감한 결정도 필요하지 않을까
이*형(dat****)
돈의 의미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인센티브가 효과 있다고 봅니다. 사물의 가치를 나타내는 돈을 버는 일을 그 만큼 남에게 가치를 창출한 것이고 공부는 남에게 가치를 창출한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창출했으므로 돈을 버는 일로는 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김*혁(ksh****)
그니까 한정된 자원 안에서 선택을 하는것이 경제라는 것의 핵심이라는 겁니다. 그걸 설명하기 위해 처음에 붉은 태그를 소재로 쓴거 같은데 좀 비약적인 면이 있긴한듯
민*미(kmm****)
돈때문에 죽을수도 있고 돈때문에 행복해질수도 있기 때문에 인간이 사는 의미를 부여하는 인센티브가 바로 돈이라 생각하게 하는 영상입니다.
이*주(gud****)
임금 올리면 기업 경쟁력 떨어진다고 극구 반대하는 우리나라 기업 마인드
정부에서 물가가 별로 오르지 않았다고 발표하는 것이 국민들을 동요하게 하지 않기 위함일 수도 있지만 체감경기를 배제하고 국민들을 속인 말장난에 불과할 수도 있다는 점도 생각해봐야겠네요.
최*웅(jak****)
씨..뭐 화장실 막혀? 이런 XX같은... 그거 제손으로 못뚧어서 부르나...
강*중(zol****)
아 짠하네요. 내일 아침에 경비 아저씨께 고생하신다 인사라도 하며 음료수라도 드려야 겠어요.
이*진(jon****)
전익선씨 그렇게 관심받고 싶나요? 당장 꺼지세요.
97년 IMF 외환위기 사태 당시 우리나라의 경제 위기를 국민들의 사치로 돌렸던 언론사들이 생각나네요. 실제로 투기자본과 기업의 방만한 운영이 문제였지만 빚은 국민들이 갚았죠. 돈은 돌아야 하니 미국은 정부가 나섰지만 우리나라는 지금도 국민에게 등 떠미네요.
빅맥지수로 시작해서 맥잡으로 끝내는... 내가 이래서 EBS를 좋아한다니까+_+ 다만, 한가지 아쉬운 건 미국의 맥잡지수는 왜 언급하지 않았는지... 그리고 단골 비교대상인 일본도 제외되었다는 것... 옥의 티야 -ㅅ-
최*용(cjy****)
아직 학생이라 제대로 이해하고 느끼진 못하지만 앞으로 살아가게될 사회에서 모든사람들이 덜 아팠으면 좋겠네요
조세피난처로 옮길 수 있기 쉬운 조건은 외국계 계열이 가능하다는 것. 즉 다국적 기업으로 성장한 기업에게 탈세가 쉽다는 것을 감안해보면 우리나라에서 벌어진 조세피난 행위를 누가 했는지 생각해 볼 수 있죠.
배*용(qor****)
흠...기회비용이 이렇게 중요하게 들릴줄은...중학교때 배웠던 기회비용은 기껏해야 군만두 두개 정도였는데...기회비용은 선택해야할 일이 커질수록 커지는군요...자연이라는 커다란 기회비용을 포기하고 편의를 선택한 인간이 이제 다시 선택을 해야할때라고 생각합니다
인간도 자연의 범주에 속하죠. 때문에 자연을 파괴한 만큼 언젠가 그 기회비용이 다시 인간에게 돌아올 수 있다는 걸 잊어서는 안됩니다.
실질임금이 줄어들면 소비가 위축되고 소비가 위축되면 생산 역시 위축되니 경제는 악화될 수 밖에 없죠. 문제는 재벌이나 정치권과 같이 우리나라의 많은 사회지도층이 임금상승에 굉장히 거부반응을 일으킨다는 점이죠.
최*기(cho****)
사실 돈보다는 자신의 가치관, 행복같은 것들이 '주'가 되는 것이 옳은데.. 자본주의의 한계를 생각하면 돈.. 그 이상의 가치가 존재할 것인지에대해 생각이든다.
지식 VOD 검색
내용서부전선의 기적 서부전선의 기적 서부전선의 기적 서부전선의 기적 서부전선의 기적 서부전선의 기적 서부전선의 기적 서부전선의 기적
지금 보신 지식채널e에 대한 소감을 댓글로 작성해 주세요.
0 / 250bytes
오*미
실업률과 물가상승 이 두가지를 잡는 방법은 아직까지 없다고 합니다... 앞으로도 불가능성이 크다더군요..
공*민
대한민국은 공부와 경제가 제일 문제야
이*정
이것 참 아이러니 하네요
김*자
실업률+물가상승률 이름만 봐도 마음이 무너지네요. 실업률 낮추려고 시간제를 높이는 추세이니.... 잘 모르겠습니다. 경제를 좀더 공부해봐야 알것 같네요. 그래도 물가는 상승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니...
김*성
미래가 불투명해진 만큼, 경제학에 대한 위협은 더욱 거세질 것입니다. 국민들이 정확한 수치를 요구한다면, 정부는 기존의 계산방식, 조건에서 벗어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