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에 '인형의 집'이라는 시나리오가 있었는데, 거기 나오는 여성은 자신의 인생을 동영상처럼 아버지의 인형이며 남편의 인형이라 하며 집을 나갑니다. 그런 좋은 내용을 선생님들은 안 가르치고 다른 것들만 가르쳐 주시죠. 지금도 화가 나는건, 광해군이 통치하던 시절만 하더라도 여성은 남성과 거의 비슷한 대우를 받았습니다. 비록 벼슬을 하지 못했을지라도 재산분배같은 것들도 여성남성 구분하지 않고 분배되고, 신분이라는 게 거의 희미해질 무렵 인조반정이 일어나 인조가 신분질서를 제대로 서야 한다며 여성을 엄청나게 속박했죠. 재가한 여성의 자식은 과거를 볼 수 없게 만드는 등, 여성에게 제약을 걸어 과부는 친척이나 가족들에 의해 자결을 요구받고, 자결하지 않으면 살인을 당했고, 그렇게 살인당한 여성은 열녀라는 칭호를 받았습니다. 이렇듯 여성에 대한 핍박이 신분질서를 세우기 위한 것이었고, 지금 신분질서가 없는 이 세상에 무엇하러 여성에게 무슨 제약을 그리도 많이 걸어놓습니까. 참 모순된 사회입니다.
곰 한 마리
영국 여행자라면 꼭 가봐야 하는 관광명소, 버킹엄 궁전을 지키는 왕실 근위대의 위엄한 교대식. 1815년 나폴레옹과 워털루 전투에서 영국 근위대의 승리를 상징하는 모자를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다고요?
지식 VOD 검색
닫기
지금 보신 지식채널e에 대한 소감을 댓글로 작성해 주세요.
0 / 250bytes
장*한
보기에 안타까운 집착..
윤*연
그냥 무거운 모자를 쓰는 것이 오히려 더 떳떳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최*우
우리 동물은 학대하지맙시다! 사람도동물입니다.
유*한
시대가 바뀌고 세상이 변했으면 또한 거기에 맞춰야 할 필요가 있죠. 전통을 고집하는 것이 꼭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김*희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전통인가? 전통이란 이름하에 모자 하나를 만들기위해 곰한마리가 희생당해야 하고 뜨거운 여름 청년이 쓰러지고 있다니 믿어지지 않네요. 대체품이 가능하다고 생각되는데 고집하는 이유가 뭘까요? 전통? 그건 버려져야 할 구시대 유물일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