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 자는건 더이상 이상한게 아니다. 자도 학원에서 다 가르쳐 주는데 학교에서 굳이 들을 필요가 없다. 학교와 학원의 기능이 점점 뒤바뀌고 있다..
회원님들께서 추천해주신 댓글중 최고의 댓글들을 모아봤어요.
-
장*민(ann****)
2013.06.29 03:30:31 -
조*영(428****)
2013.05.25 12:52:12what 이 아니라 how를 보고 배울 줄 아는 학생이 되고프다..
-
유*한(lee****)
2013.04.03 04:15:43우리나라도 사실 과도한 입시경쟁에 대한 부작용을 우려하여 교육제도를 바꾸려했지만 하향평준화라는 식의 거샌 반대를 이기지 못했죠. 학생은 자아가 있는 사람인데도 우리사회와 교육은 학생을 기계 다루듯 생각하는 건 아닌지 반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
김*미(zho****)
2013.04.29 11:09:28꿈이 없으면 성적으로 인한 다른사람들과의 경쟁이되는데..꿈이 생기면 나와의 싸움이 됨..뜬끔없지만..전환학년제가 우리나라에 비현실적이긴 하지만..무작정 꿈!징래희망만 묻지말고ㅠ 공부만 강요하는데.. 시간좀 줬으면 좋겠네요
-
홍*원(syc****)
2013.05.16 06:43:54대학생인 지금.. 아이들에게 정말 필요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1년이 주어지면 그 시간을 이용한 국영수학원이 생겨 학원을 보낼 것 같다는 생각도 문득 드네요.
-
류*민(you****)
2012.12.25 07:43:13공부 x빠지게 해봤자 정말 윗대가리들만 쳐 잡수고 있네
-
최*들(ch0****)
2013.04.03 10:05:20저도 올해15살인데요!!!저또한 아직 장래희망을 결정하고 고민하는 나이라...무엇을 할지 굉장히 고민이 많습니다. 아일랜드의 교육방식을 보면서 참 많이 배워갑니다! 우리나라도 저처럼 방황하는 학생들을 위해 좋은 기회를 많이 만들어주셨으면 합니다..^-^
-
나*기(skt****)
2013.04.27 09:22:38우리나라에 저런게 있었더라도 우리나라 학부모들은 일년동안 다음학년 공부를 시키겠지
-
전*원(yeo****)
2013.01.14 05:52:16고3 수험생 이야기도 아니고,, 초등학생 이야기라는게... 믿고 싶지 않고 착찹하다..
-
노*우(sks****)
2013.01.10 04:27:42나는 한국의 교육을 받았다. 스스로 자기만의 방법을 찾지못한다. 주입식 교육에 의해 멍청해져가고있다
-
권*성(com****)
2012.12.31 03:15:25왕따에는 피해자, 가해자, 방관자 이 셋의 역할이 있는데 방관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왕따 또한 군중심리 중 하나이기 때문에 군중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한거죠... 방관자가 방관하지 않고 조금만 도와준다면, 극단적인 일도 일어나지 않을텐데...
-
김*운(wo0****)
2013.07.25 10:57:45초등학생 여러분 비록 지금이 힘들지 몰라도 견디세요 형이 좋은 나라를 만들어 줄게요
-
유*한(lee****)
2013.05.22 03:35:47이 시대 젊은이들의 가장 서글픔은 당연히 누려야 할 청춘을 사치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더군다나 본인의 잘못이 아닌데도 스스로 죄인처럼 여기게 된다는 것이 말이죠.
-
성*(ds0****)
2013.05.18 07:54:22그런데 정말 자식이 행복해지기 위해 잔소리하는 건 엄마들 모두의 생각 아닐까요? 이 영상을 보면서 이렇게 바쁜 와중에도 제가 악기 하나를 배우고, 여가를 즐길 시간을 주시는 우리 엄마에게 감사한 마음이 드네요.
-
김*희(kim****)
2013.04.22 10:10:58우리나라는 문제다. 비판하는건 아니지만, 너무 학생들에게 스트레스를 안겨주는것이 아닌가. 잘사는사람들보다 못사는사람들이 더 열심히다. 무조건 공부쪽으로 사회를 밝히기보단 다른 재능을 안겨주는 것이 어떨까. 나도 학원을 안다니는 입장에서 보니 더 착잡하다.
-
엄*환(joh****)
2013.04.03 07:36:08청소년기를 겪은 어른세대도 견뎠으니 너희도 견디어라라거나 그저 경쟁에 뒤쳐지니 공부하라는 식의 사고개념 바뀌어야 합니다 아이들도 스스로 꿈을 찾고 하고픈 일을 하며 행복하게 살 권리가 있습니다 그런 세상이 아직 못만들어진 것은 어른들의 잘못이라고 봅니다 우리들의 욕심으로 아이들의 꿈조차 빼앗는 우리는 아이들에게 죄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아이들의 꿈이 대학입학이나 대기업 취직이 아닌 스스로 꿈꾸고 이룰수 있게 해줄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생각되네요
-
조*흠(goo****)
2013.03.30 12:36:33진짜 교육관계자들은 지식채널좀 봐라!
-
박*환(par****)
2013.03.24 05:41:44아무도 손을 댈수 없는 현실 전부말로는 그렇게 함
-
박*호(par****)
2013.01.11 03:38:56더 무서운건 우리나라가 저런 괴물들을 키우고 있을수도 있다는게 소름끼치는군요...
-
이*욱(zkv****)
2013.05.04 04:27:09정말 많은걸 느끼게 해주는 정책이네요 인구가 1억이 넘는 방글라데시에서 300만명의 소수를 위한 정책 왜 방글라데시가 가난하지만 국민 행복도가 항상 높은지 알수있는 나라인거같습니다.
지금 보신 지식채널e에 대한 소감을 댓글로 작성해 주세요.
0 / 250bytes
남*혁
게임과 교육을 융합했다는 점이 흥미롭네요. 하지만 아직 우리 사회에는 이런 교육구조 시도조차 못하고 있어서 영상을 보는 내내 한편으로는 안타깝기도 했어요.
유*한
동기부여 측면에서도 좋을 거 같네요.